|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typescript
- nest.js
- til
- mongo
- Java
- MongoDB
- 기록
- javascript
- 생각로그
- 생각일기
- CS
- Grafana
- 코테
- 회고
- 생각정리
- 네트워크
- array
- react
- js
- mongoose
- WIL
- mysql
- 알고리즘
- 피드백
- 자바스크립트
- 트러블슈팅
- next.js
- 주간회고
- 리눅스
- Gi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88)
코딩일상
이번 주 하고 배우고 느낀 것들 남이 만들어놓은 코드 파악완료 후 문서화 도메인 지식 업그레이드(전기차 배터리 어렵군..) 개발세미나 준비 및 발표 남이 만들어놓은 코드 파악완료 후 문서화 드디어 저번주 부터 했었던 기존 서비스를 파악완료를 하였다. 결과론적으로 이야기를 하자면 진짜 앞으로는 항상 코드를 작성을 할 때 누가 봐도 이해하기 쉽게 작성을 해야겠다 생각을 하였다. 물론 작성하신분도 그 자기 자신 만의 논리로 작성을 하신 것처럼 보이긴 하였다. 하지만 그 전체적인 흐름을 처음보는 사람이 파악하려는 과정의 depth를 너무 길고 복잡하게 해 놓았다는 점과 전혀 알아볼수 없는 변수와 함수들의 잔치들로 인해 나한테는 지옥과 같았다. 분명 방금까지는 이 변수가 가진 의미가 이거인 거 같았는데 그사이 또..
이번 주 하고 배우고 느낀 것들 slack 알림을 통해 서비스 유지 보수 파악개선 데이터 backup 배치 기능 추가 JavaScript heap에 대한 개념 추가 정리 AWS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python(Flask) 서비스 파악 데이터 관리(임베디드라 해야하나..?) gz?? zip?? slack 알림을 통해 서비스 유지 보수 파악개선 현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들이 많은 것은 알고있었지만 이번주 이에대한 유지 보수 문서화를 하면서 정말 많은 서비스들이 있음을 알게되었다. 이를 제대로 유지 및 관리 하기 위해서 매일 체크를 하고 파악을 하면 좋지만 이또한 짧은 시간이 드는것이 아니니 이를 Slack으로 하는 작업을 이번주 진행하게 되었다. 물론 전부 하지 않고 내가 담당한 부분에 대해서 나는 ..
let result = connection.query('select * from table') 위와 같이 DB를 조회 하여 result에 값을 담는 과정에서 RangeError: Invalid string length 라는에러가 발생하였다. 처음 보는 에러 여서 ?? 이게 뭐지 하고 이 에러에 대해 알아보니 이런 뜻이었다. "RangeError: Invalid string length" 오류는 JavaScript에서 허용되는 최대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의 문자열을 만들려고 할 때 발생 길이가 2^53-1(JavaScript의 최대 안전 정수)보다 큰 문자열을 만들려고 할 때. 이것은 매우 큰 문자열을 연결하여 문자열을 만들거나 길이가 매우 큰 문자열을 만들려고 할 때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가 너무 커서 ..
fs.createWriteStream(path[, options]); const fs = require('fs'); // 파일 생성 혹은 기존 파일 덮어쓰기 const writeStream = fs.createWriteStream('example.txt'); // 파일에 데이터 쓰기 writeStream.write('Hello World\n'); // 파일 쓰기 종료 writeStream.end(); // 파일 쓰기가 완료되면 콘솔에 로그 출력 writeStream.on('finish', () => { console.log('Data written to file'); }); // 에러 발생 시 콘솔에 로그 출력 writeStream.on('error', (err) => { console.error(err..
이번 주 하고 배우고 느낀 것들 본사에서 도메인(전기차 배터리) 관련 교육 도메인 관련 컨퍼런스 참여 crontab으로 이루어진 shell부분 코드화 담당 서비스 유지보지보수 개인 공부: 김영한 강사님의 spring 강의 2편 수강중 본사에서 도메인(전기차 배터리) 관련 교육/ 도메인 관련 컨퍼런스 참여 개발자로서의 삶도 처음이지만 현재 회사의 도메인부분또한 인생 처음으로 겪는 부분이어서 개발을 하면서도 모르는 용어들(변수)이 너무 많았고 과연 내가 제대로 서비스를 이해하고 있는가에 대한 부분이 스스로 만족스럽지 못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나 팀원들에게서도 이부분들을 물어가면서 지식들을 채워가고있었지만 현 회사의 도메인 부분의 깊이가 있다보니 아무래도 벽이 있었다.(팀원분들도 아무래도 이쪽 도메인은 다들 ..
이번 주 하고 배우고 느낀 것들 인수인계받아 담당 중인 서비스 문서화 can 통신 공부 docker를 통한 로컬 데이터 서버 띄우고 dev단계에서 운영방식 습득 개인 공부: 김영한 강사님의 spring 강의 1편 수강완료 개인 공부: React 스터가 개인 도전: 사이드 프로젝트 기획 이번주는 수요일이 공휴일이어서 그런지 정말 빨리 간 거 같다. 회사에서 급한일정이 확몰아치고 가서 살짝의 예유가 있는 지금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를 내가 맡게 되었다.(유지보수 복잡한건 아닌...) 기존에는 수정사항 이나 요청사항이 올 때마다 코드를 다시 뜯어보고 위치를 파악해서 문제를 해결하여 땜질식으로 하였는데, 개인적으로 내가 만든 서비스가 아니다보니 서비스에 전체적인 흐름과 설계도가 그려지지 않아 문서화를 진..
What Happens When You Type google.com Or Any Other URL In Your Browser And Press Enter을 번역 글입니다. What Happens When You Type google.com Or Any Other URL In Your Browser And Press Enter Introduction Nowadays in the digital era, we use the internet for just about everything. We can study, connect with our friends and relatives through social media, play online games with people all over the world, ..
Win32과 Win64은 각각 32비트와 64비트 운영체제를 의미합니다. 비트는 컴퓨터가 처리하는 데이터의 단위로, 0과 1로 구성된 이진법 언어로 명령을 처리합니다. WIN32는 32비트 운영체제로, 2의 32승 크기만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WIN64는 64비트 운영체제로, 2의 64승 크기만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숫자로 표현하면 32비트는 4,294,967,296 가지, 64비트는 18,446,744,073,709,551,616 가지입니다. WIN32 운영체제는 32비트의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메모리 크기인 4GB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WIN64 운영체제는 4GB 이상의 램을 구비했을 때 그 성능을 제대로 끌어낼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192GB..
이번주 느끼고 생각하고 배운 점 들 1. 서버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에러 알림을 slack으로도 반영할 수 있게 기능구현 2. 배치스케줄을 spring에서도 구현 3. 현재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받는 데이터들 매핑을 위한 문서 작성 4.현 회사 개발세미나 및 코드리뷰 문화 개선의견 나누기 등 5.도커 로그 파악하는 방법 6.네트워크 연결 체크 방법 7.git 새로운 명령어들(git rebase, git cherry-pick ...) 더불어 회사에 새로운 백엔드 경력자 분이 오셨다. 더 많은 것들을 배워나갈수 있고 의견을 나눌수있어 좋았다.물론 그 만큼 나도 배우고 노력을 해서 팔로우를 해야할게 더 많지만 그래도 배움을 더 많이 할 수있음에 행복했다. 아무래도 현 회사 사업에 대한 도메인 지식이 부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