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일상

[2023.03.25(토)]개발자 14주차 기록 및 생각정리 본문

기록/그냥생각적기

[2023.03.25(토)]개발자 14주차 기록 및 생각정리

solutionMan 2023. 3. 25. 12:23
반응형

이번 주 하고 배우고 느낀 것들

  1. slack 알림을 통해 서비스 유지 보수 파악개선
  2. 데이터 backup 배치 기능 추가
  3. JavaScript heap에 대한 개념 추가 정리
  4. AWS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5. python(Flask) 서비스 파악
  6. 데이터 관리(임베디드라 해야하나..?)
  7. gz?? zip??

slack 알림을 통해 서비스 유지 보수 파악개선

현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들이 많은 것은 알고있었지만 이번주 이에대한 유지 보수 문서화를 하면서

정말 많은 서비스들이 있음을 알게되었다. 

 

이를 제대로 유지 및 관리 하기 위해서 매일 체크를 하고 파악을 하면 좋지만 이또한 짧은 시간이 드는것이 아니니 이를 

Slack으로 하는 작업을 이번주 진행하게 되었다. 물론 전부 하지 않고 내가 담당한 부분에 대해서 나는 적용을 하였다.

 

개발하는 많은 곳에서 왜 slack을 사용하는 지 몰랐는데 여러이유중 하나의 이유를 알게되었다.

webhook을 이용하여 이렇게 에러들을 파악하고 즉각대응을 할수있으니 역시 편리하고 좋았다.

 

 

데이터 backup 배치 기능 추가(3,4번도 이 기능을 구현하면서 더 자세히 깨닫고 배우게 되었다)

저번주 서버에서 crontab으로 진행되었던 shell script를 배치 서버에서 같이 다루자는 이야기가 나와 이를 진행하였다.

크게 어려운 부분이 아니라고 생각을 했지만 언제나 그렇듯 제대로 진행을 하려고 하니 여기 부딪히고 저기 부딪히게 되었다. 

그래 맞다 삽질을 오지게 하였다. 

 

그래도 이 기능을 만들면서 정말 이것저것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

역시 부딪히면서 배워야하는건가!!를 깨닫는 순간이었다. 

 

RangeError: Invalid string length 에러 해결 방법

let result = connection.query('select * from table') 위와 같이 DB를 조회 하여 result에 값을 담는 과정에서 RangeError: Invalid string length 라는에러가 발생하였다. 처음 보는 에러 여서 ?? 이게 뭐지 하고 이 에러에

coding-daily.tistory.com

 

python(Flask) 서비스 파악

서비스 유지 관련해야하는 것중에서 python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이 있었다.

파이썬을 잘모르지만 이기회에 덕분에(?) 공부를 하게 되었다.

파이썬 자체는 쉽다 했는데 왜 서비스를 뜯어보았을때 전혀 이해가 안가는 지 모르겠다.

 

잘할수있겠지 걱정이 조금은 있지만 생활코딩 형님의 Flask를 보니

와 이건 진짜 이렇게 쉽게 서버를 띄울수도 있나...싶을정도로 강력크 했다. 

좀더 파악이 되고 진행이되면 이부분에 대해서도 정리 해보겠다.

 

 

데이터 관리

현재 회사에서 들어오는 데이터들은 데이터수집장치들을 통해서 들어오고있는데

아무래도 외부에 노출되어있는 장치들이다보니 변수가 너무 나도 많고 수집장치또한 내재화되어있지 않다보니

데이터상 출력에 오류가 나는 경우가 종종있다.(어떻게 하면 이를 잘 해결할수있을까가 메인 관건이긴하다)

 

그래도 현재는 어느정도는 많이 작업이 들어가서 큰 문제는 없지만 그래도 가끔 알게 모르게 문제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번주도 그러하였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을 하였다.

 

이러한 해결을 할때 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문제가 발생을 하면 그 문제가 어디서 어떻게 났는지를 파악하는것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인거 같다 곳 그것이 개발자의 중요한 능력중 하나일것이고 말이다.

 

처음보다는 많이 익숙해 졌지만 아직도 많이 부족한것을 느끼며 좀더 문제를 파악할수있는 논리력을 키워가보아야겠다.

 

 

정리 할게 너무 나도 많고 공부할게 너무 나도 많지만 이런것을 느낄수있음에 감사함을 느꼈던 일주일이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