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생각일기
- mysql
- MongoDB
- 기록
- WIL
- next.js
- typescript
- nest.js
- mongoose
- js
- Grafana
- javascript
- 리눅스
- 회고
- 네트워크
- Java
- til
- CS
- 트러블슈팅
- 생각로그
- array
- mongo
- 자바스크립트
- react
- 피드백
- 알고리즘
- 생각정리
- 코테
- Git
- 주간회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88)
코딩일상
조사하게 된 원인 회사 서버 중 하나의 데이터 모니터링에서 alert이 왔는데 단순 모니터링 툴 말고도 다양한 툴로도 확인이 가능하다는 것을 일을 하다가 지켜보게 되어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하게 되어 조사하게 되었다. 1) ps -ef ps -ef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목록을 보여주는 데 사용 시스템 관리자와 사용자가 현재 시스템에서 어떤 프로세스가 실행 중인지 파악하는 데 유용 ps는 "process status"의 약자이며, -ef 옵션은 특정 형식으로 모든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하도록 합니다. 명령어 구성 ps: 프로세스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e: 모든 프로세스를 나타냅니다. f: 풀 포맷으로,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출력 정보 ps -e..
pull request시에 템플릿 적용방법 pull_request_template.md ## PR TYPE - [ ] Bug fix - [ ] Feature - [ ] 코드 스타일 업데이트 - [ ] 리팩토링 - [ ] Build related changes - [ ] CI관련 변경사항 - [ ] Documentation content changes - [ ] infrastructure changes - [ ] 기타... 설명해 주세요:
1.메모리 누수는 무엇인가? 메모리 누수는 부주의 또는 일부 프로그램 오류로 인해 더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를 해제하지 못하는 것이다. 간단히, 어떤 변수가 100M의 메모리를 점유한다고 할 때, 이 변수가 사용되지 않더라도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해제되지 않아 계속 메모리를 점유하는 것을 말한다 2.왜 발생하는가? 사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변수들을 담은 힙 메모리에서 GC를 해주어야 하는데 어떠한 이유들로 GC가 되지 않기 때문에 2-1 GC 가비지 컬렉션이란? 대량의 데이터 생성 데이터 해제 및 메모리 사용량 확인 3.어떤 경우 발생하는가? 메모리 누수 예제들 그래서 어떤 상황들에서 메모리 누수가 발생이 될까? 다음은 공통적인 사례들이다. 1.클로저의 잘못된 사용 2.의도치않게 생성된 전역 변수 3.분리..
💡이번 주 한 것 들과 느낀 점 들 🙋🏻♂️개인 적 변명이 되겠지만 이번주는 한게 없었다.... 회사 부분에서 그 이야기를 해야기 하겠다. 🏢회사 1.게이트웨이 에러 문제 수집 및 해결 진행 현재 회사에서 Mqtt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를 운영하고 있는데 특정 IOT 장치로부터 통신을 받는 시점에만 데이터 수신 딜레이 생겨나는 현상이 발생하여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파악하는 일들을 진행 하였습니다. 가. 현재 파악한 문제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취한 조치 1) node.js 프로파일링 2) zabbix 모니터링 구축(테스트 케이스 부분) 3) 프로세스 이벤트 부분에 로그 추가(문제가 발생한다고 생가하는 부분) 가. 의 결과로 예상되는 문제점들 1)의 결과로는 코드 상에 연산에 소요되는 부분들이 많..
tmux 설치 대부분의 Linux 배포판에서는 apt, yum 또는 brew 등의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tmux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Debian/Ubuntu 계열: sudo apt-get install tmux Red Hat/Fedora 계열: sudo yum install tmux macOS: brew install tmux (Homebrew가 설치된 경우 tmux 사용법 세션에서 나가기: Ctrl+b 누른 후 d 창(pane) 분할하기 가로로 분할: Ctrl+b 누른 후 " 세로로 분할: Ctrl+b 누른 후 % 창(pane) 이동: Ctrl+b 누른 후 방향키(↑, ↓, ←, →) 창(pane) 크기 조절: Ctrl+b 누른 후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방향키를 사용 창(pane) 닫기:..
node --prof app.js node --prof-process isolate-0xnnnnnnnnnnnn-v8.log > processed.txt node --prof-process --preprocess -j isolate-0x130008000-81644-v8.log | flamebearer
💡이번 주 한 것 들과 느낀점 들 🙋🏻♂️개인 적 운영하고 있는 모임매니지먼트(사이드 프로젝트) 1)관리자 페이지 기획 현재 모임을 운영하는 운영진 중에 개발자는 나뿐이다 보니 다른 운영진들도(비개발자) 운영 사이트를 관리 할수있게 관리자페이지에 들어갈 기능들을 설계 하고 DB를 설계 하였다. 2)react 공부 방향 수립 구현을 하다보니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해 좀 더 알고싶은 마음까지왔다 이제 내부 돌아가는 과저에 대해 공부 해보아야겠다 (react 카테고리도 만드러야 하군,...) 🏢회사 1)내부 세미나 수강 인증과 인가관련 회사 내부 세미나를 듣게 되었다 현재 회사에 와서 가장 좋아하는시간이다 당연히 다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이라 생각하였는는데 언제나 이런 자만심을 가지고있을때 깨졌다 ㅎㅎ ..
젠킨스를 배포를 하다 잘못 배포한 부분이 생각나 아무생각없이 배포중에 cancel을 하였다. 이후 배포를 하였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 가나왔다. 내용을 대략적으로 뭔가 깃충돌이 난다는것 같았다. 검색을 해보니 우수수.. 나와 비슷한경우가 많았던거같다(다행>.
MONGO DB 도커로 구성하고 내부 접근하는 법 1-1),1-2)방법중 편한 방법사용 2)을 통해 내부 접근 1-1) dockerCompose.yml 이용 version: '3.1' services: mongo: image: mongo environment: MONGO_INITDB_ROOT_USERNAME: 사용자명 MONGO_INITDB_ROOT_PASSWORD: 비밀번호 ports: - "27017:27017" volumes: - mongo-data:/data/db volumes: mongo-data: image: 사용할 MongoDB의 Docker 이미지를 지정합니다. mongo는 최신 버전의 MongoDB 이미지를 사용하겠다는 의미 environment: MongoDB 인스턴스를 구성하는 환경 ..
데이터베이스 역할 read: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readWrite: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dbAdmin: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userAdmin: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관리 역할 clusterAdmin: 클러스터 수준에서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readAnyDatabase: 모든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관리용 데이터베이스 제외)readWriteAnyDatabase: 모든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관리용 데이터베이스 제외)userAdminAnyDatabase: 모든 데이터베이스의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