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스크립트
- 트러블슈팅
- react
- 생각일기
- MongoDB
- WIL
- javascript
- Grafana
- 네트워크
- 생각로그
- array
- next.js
- 알고리즘
- 생각정리
- mongo
- 코테
- 피드백
- Git
- til
- 기록
- js
- 회고
- typescript
- mongoose
- Java
- nest.js
- 리눅스
- 주간회고
- CS
- mysq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88)
코딩일상
Spring Boot HikariCP & R2DBC 커넥션 풀 총정리 1️⃣ HikariCP 역사와 도입 배경 초기 Spring Boot / Spring에서는 기본 커넥션 풀로 Commons DBCP, C3P0, Tomcat JDBC Pool 사용문제점:성능이 느림 (과도한 synchronized)커넥션 누수, stale connection 문제멀티스레드 환경 불안정 2012년, Brett Wooldridge가 성능과 안정성을 높인 HikariCP 개발이름: 일본어 光(Hikari) = “빛”, 경량 & 고속 의미설계 철학: 최소 동기화, lock-free 구조, JDBC 표준 준수 Spring Boot 2.x부터 공식 기본 커넥션 풀로 채택이유: 성능, 안정성, 낮은 메모리 오버헤드, 유지보수 신뢰성..

문제의 화면 헤결 공식 문서 Restore Dashboard backup | Supabase DocsLearn how to restore your dashboard backup to a new Supabase projectsupabase.com 백업 시작 1)백업 파일 다운로드 2)다운로드 결과*storage도 있다면 해당도 다운 3)백업 파일 반영(supabase 서버에) 명령어(터미널 실행)[]부분은 여러분의 신규 데이터베이스 config 값으로 대체 그리고 다른 기타 요소들도 확인후 수정postgresql://postgres.[PROJECT-REF]:[YOUR-PASSWORD]@aws-0-us-east-1.pooler.supabase.com:5432/postgres PGPASSWORD=[..
서버 운영하면서 메모리/CPU뿐 아니라 inode 모니터링도 꼭 필요합니다.📌 inode란 무엇인가?1. inode의 정의inode(index node) = 리눅스/유닉스 계열 파일시스템에서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파일의 실제 데이터가 아니라, 파일을 설명하는 정보를 담고 있음.예를 들어 ls -i 명령어로 보면 파일마다 inode 번호가 있어요: 123456 myfile.txt여기서 123456이 inode 번호입니다.2. inode 안에 들어 있는 정보파일 유형 (일반 파일, 디렉토리, 링크 등)파일 소유자, 그룹접근 권한 (rwx)파일 크기생성/수정/접근 시간 (ctime, mtime, atime)실제 데이터 블록의 위치 (디스크 상 오프셋 주소)링크 수 (하드링크 개수)📌 즉, ..

수퍼베이스 대시보드에서 아래 쪽으로 이동을 한후에 사용하고자하는 신규 스키마를 expose 시켜주면 된다. { code: 'PGRST106', details: null, hint: null, message: 'The schema must be one of the following: public, graphql_public, tcrc'} 추가로 이렇게 설정한 이후 @supabase/supabase-js 라이브러리 통해서 할경우아래 코드와 같이 .schema를 지정해서 사용한다 하지 않을경우 public이 default이다.// Initialize the JS clientimport { createClient } from '@supabase/supabase-js'const supabase = ..

기본적으로 MongoDB는 전체 RAM의 50%까지 사용 wiredTigerCacheSizeGB 설정을 조정 파일 내용 수정 아래 와 같이storage: wiredTiger: engineConfig: cacheSizeGB: 4 # 예: 4GB로 설정 수정후 아래 명령어를 통해 mongoDB 재시작sudo systemctl restart mongod 몽고 상태 확인 명령어sudo systemctl status mongodb wiredTigerCacheSizeGB 설정 확인하는 방법 db.serverStatus().wiredTiger.cache["maximum bytes configured"]결과값 변환 ==> 7740588032 / (1024 * 1024 * 1024) ≈ 7.2..
1. MongoDB 프로세스 강제 종료현재 실행 중인 MongoDB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강제로 종료 1번)sudo systemctl stop mongod 2번)ps aux | grep mongod MongoDB 프로세스 ID(PID)를 확인한 후, 해당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합니다. sudo kill -9 2. /tmp/mongodb-27017.sock 파일 삭제MongoDB 프로세스를 종료한 후, 소켓 파일을 강제로 삭제합니다 sudo rm -f /tmp/mongodb-27017.sock3. /tmp 디렉토리 권한 확인 및 수정/tmp 디렉토리 권한이 적절한지 확인하고, 필요 시 수정합니다ls -ld /tmp/tmp 디렉토리의 권한이 drwxrwxrwt (즉, 1777)인지 확인합니다.권한이 올바르지 ..

💡이번 주 한 것 들과 느낀 점 들 🙋🏻♂️개인 1)개발 외주 프로젝트개발 외주 프로젝트관련 클라이언트와 1차 점검을 통해 나왔던,2차 수정안들에 대한 것들을 처리 하였다. 더불어, 1차를 진행하면서 개인적으로 유저 경험에서 불편함이느껴질 것 같은(데이터 로딩 , 데이터 검색, 화면 비율에 대한 처리 등을) 추가 작업진행하였다.(요청은 따로 없었지만 이왕하는것 제대로 만들어 보고싶은 마음이 좀더 있었다) 기존 코드들을 정리하고 추후 수정 과 미래의 나를(?)위해서 주석들을 추가 및 정리하였으며, 코드들또한 한번 리팩토링 하였다. 사실 이번주는 딱히 뭔가 개인적인 일은 크게 못했당...하루에 30분이라도 해야하는 습관을 기르자.. 회사만 다녀오면 왜 이렇게 진이 빠지는지 일이 몰려서 그런가. 2..
Next.js에서 설정 파일인 next.config.js는 웹사이트의 동작을 최적화하고 보안을 강화하며 개발 환경과 실제 배포 환경 간의 차이를 관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설정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과 각 기능의 사용 이유, 장점, 단점, 그리고 코드 예제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목차리다이렉션 설정하기환경 변수외부 이미지 도메인 허용커스터마이징 국제화 설정보안 헤더 설정하기1. 리다이렉션 설정하기사용 이유오래된 URL을 새로운 URL로 연결할 때 유용합니다.SEO를 유지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장점사용자가 잘못된 URL로 접속해도 자동으로 올바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검색 엔진 크롤러가 새로운 URL을 쉽게 인식합니다.단점많은 리다이렉션 규칙이 있을 경우 관리가 ..

💡이번 주 한 것 들과 느낀 점 들 🙋🏻♂️개인 1)개발 외주 프로젝트개발 외주 프로젝트관련 클라이언트와 1차 점검을 통해 나왔던,2차 수정안들에 대한 것들을 처리 하였다. 더불어, 1차를 진행하면서 개인적으로 유저 경험에서 불편함이느껴질 것 같은(데이터 로딩 , 데이터 검색, 화면 비율에 대한 처리 등을) 추가 작업진행하였다.(요청은 따로 없었지만 이왕하는것 제대로 만들어 보고싶은 마음이 좀더 있었다) 2)개인 프로젝트(운영중인 러닝 모임 출석관리 어플)추가 하고싶은 기능들과 화면 디자인 구성 기획개발 단계 적용 다음주 중에 운영 배포 및 리뷰 받을 에정 사용자(우리 크루원)들 통해서 🏢회사-팀과의 협업과 소통의 중요성최근에 신규 사업건 관련 담당을 어쩌다 보니 담당하게되었다.뭐 지정을 ..
개요next.js 를 통해서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던중Hydration mismatch 라는 이슈를 마주하게 되었다. 하이드레이션이란? 하이드레이션 비유를 🧊 얼음 큐브(서버의 HTML) → 💧 물(상호작용 가능한 웹페이지)서버에서 보내준 HTML은 '얼음 큐브’이다모양은 갖추어져 있지만, 딱딱하고 변화가 없다. 이 얼음 큐브가 브라우저에서 '물'이 되어야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이렇게 얼음을 물로 만드는 과정이 바로 '하이드레이션'왜 하이드레이션이 필요??1. 빠른 초기 로딩 - 서버가 미리 HTML을 만들어서 보내줌 - 사용자가 빨리 콘텐츠를 볼 수 있음2. 검색 엔진 최적화(SEO) -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잘 읽을 수 있음 - 더 나은 검색 결과 노출3. 사용자 경험 - 초기 화면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