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tudy/네트워크 (2)
코딩일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iVdc/btsE6C6ijrU/P05Dn99IzvQCku6jkRBBYK/img.png)
네트워크 명령어 정리 명령어 운영 체제 설명 사용 예 ping 공통 대상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지 확인 ping google.com ipconfig ifconfig Windows / Ma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및 IP 주소 확인 ipconfig ifconfig tracert traceroute Windows / Mac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 추적 tracert google.com traceroute google.com nslookup 공통 도메인 이름의 IP 주소 조회 nslookup google.com netstat 공통 네트워크 연결,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통계 등을 보여줌 netstat -an 1. Ping 역할: 네트워크 상의 다른 시스템이 온라인 상태인지와 그 시스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HlEF/btrP36w3DIZ/fthHgSHLWghGmLWVb2pBR1/img.png)
OSI 7 계층이란? OSI 7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네트워크 간의 호환을 위해 OSI 7 계층이라는 표준 네트워크 모델을 만들었다. 그렇다면 왜 계층을 나누었을까? 분명 이유 없이 계층을 나누지는 않았을 것이다. 계층을 분리함으로써 각 계층은 독립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역할이 분리가 되면서 문제 발생 시 문제의 현상응 보았을 때 어떤 계층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도 파악이 가능하다. 각계층은 하위계층을 사용하고 현계층의 기능을 포함하여 상위 계층에 제공한다. 그래서 계층구조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아래층이 안 보이는 구조라고 볼 수 있다.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