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83)
코딩일상
🧑🏻💻지난주 배운 것들 그리고 깨달은 것들 클론 코딩 프로젝트 마무리 (마켓 컬리 클론 코딩) 로그인(기존에 해보았던걸 다시 함으로써 좀 더 어떻게 하면 좋을까 리팩터링 고민을 많이 하였음) 이메일 인증(nodemail라는 라이브러리 공부 및 이메일 서버에 대한 공부) 에러 핸들링을 공부하고 적용하여 서버의 안정성 좀 더 기여( 미들웨어에 대한 이해도 상승했던 기회였음) HTTPS를 적용하기 위해 SSL, CA, 암호화에 대한 개념에 대해 배우고 적용을 해보았다.(솔직히 아직 완벽한 이해는 못한 듯.. 그래도 암호화를 이해하고 나니 JWT 토큰 등 인증 관련쪽 개념에 대해서도 조금은 이해가 가는 듯 역시 모든 건 이어져있나..?) 좋은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선 팀원들과 끝없이 대화를 하고 소통을 해야 ..
요청 객체 (Request) 일반적으로 req나 request와 같은 변수로 명명함. 어차피 콜백에 전달되므로 마음대로 지어도 된다. 여기서는 req로 사용. Methods req.params : 이름 붙은 라우트 파라미터를 담는다. ex : app.get(’/:idx’, (req, res) => { res.send(req.params.idx); }); -> req.params(name) : 이름 붙은 라우트 파라미터나 GET, POST 파라미터를 담는다. 하지만 여러가지 혼란을 줄 수 있어 사용하는 것을 지양해야한다. req.query : GET 방식으로 넘어오는 쿼리 스트링 파라미터를 담고 있다. req.body : POST 방식으로 넘어오는 파라미터를 담고있다. HTTP의 BODY 부분에 담겨져있는..
HTTP와 HTTPS란??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Securesocket layer)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이 가진 보안의 약점을 보완한것 HTTPS와 SSL은??? HTTP는 SSL위에서 돌아가는 서비스이다. 이 HTTP가 SSL을 이용하게되면 HTTPS인것이다. SSL과 TLS는? 같은 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SSL은 네스케이프에 의해서 발명이 되었다. 이것이 점차 폭넓게 사용이 되다가 표준화 기구인 IETF의 관리로 변경이 되고 TLS라는 이름으로 변경이 되었다. TIS1.0은 SSL3.0을 계승한다. 즉 현재 정확한 명칭으로는 SSL은 TLS라..
지난주 한 것들 그리고 깨달은것들 모던자바스크립트 독서 2시간(기초를 튼튼하게!!) CS공부 및 스터디 활동 2건 ERD의 중요성을 깨달았음(이 이유로 명확하게 원하는것을 만들어내지 못하였음) 프론트와 백엔드간의 정확하고 명확한 의사소통 수단이나 능력이 필요 이번주 이루고 싶은것들 앞서 다루어보지 못한 것들 구현(에러 헨들러, 토큰 FRESH, HTTPS 등) 기초에대한 좀더 명확한 이해 JS자체를 좀더 이해 해보자 서버 배포 담당을 해보고싶다(저번주차에 하지 못해서 아쉬웠다.) 위를 하고 싶은것은 배포 및 백과 프론트연결과정에서 생기는 다양한 문제를 직접처리 해보고 싶어서이다. 주간 회고 요번 주간회고는 TIL에서도 예고했던것 처럼 첫 협업을 진행하면서 느꼈던점 들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자고 한다. -프..
https://velog.io/@neity16/NodeJs-%EC%9D%B4%EB%A9%94%EC%9D%BC-%EC%9D%B8%EC%A6%9D-%EA%B5%AC%ED%98%84nodemailer NodeJs - 이메일 인증 (nodemailer) : Node.js에서 사용하는 이메일 전송 라이브러리Emoji를 포함한 Unicode를 지원Plain text는 물론이고, HTML content를 사용SMTP 를 포함한 다양한 전송 방식을 지원OAuth2 인증방식을 지원그 외 자세한 정보는 velog.io https://nodemailer.com/about/ Nodemailer :: Nodemailer Nodemailer Nodemailer is a module for Node.js applications t..
오늘의 한줄평 준비를 철저히 해보자!!! 오늘 한 것 / 공부한 것/ 느낀 것 클로코딩 API 설계 및 ERD작성 담당 구현 부분인 유저(로그인, 회원가입, 중복체크등)기능 구현 도전해보고싶은 기능 목표설정(이메일 인증,에러헨들러,https, 소셜로그인, 실시간 채팅) 내일 할 것 장바구니 기능 구현 기능 합치고 전체 테스트 오늘 회고 벌써 실전프로젝트 전 마지막 주차이다. 시간이 정말 빠르게 가는것 같다. 이제 나름 기본적인 게시판 , 댓글, 유저 등등 CRUD는 빠르진 않지만 이해를 하고 활용하면서 구현을 해내는것 같다. 그리고 저번주차 였던 미니 프로젝트에서 데이터베이스 설계중 하나인 ERD를 실수를 하여 제대로 못했던 경험들을 삼아 요번에는 좀더 실질적인 데이터의 흐름을 고려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오늘의 한줄평 하루하루 꾸준히 정진하자 오늘 한 것 / 공부한 것/ 느낀 것 미니프로젝트 담당 기능 구현 완료 SQL 강의 4강 듣기(조금은 더 친해지고 익숙해진것 같다.) 내일 할 것 E2E오류 체크 전체 과정 체크 오늘 회고 오늘은 오전 오후 저녁이렇게 계획을 했던대로 문제가 없이진행이 되었다. 음 그래서 더 불안한것도 많다. 이렇게 잘될리가 없는데 아마 내일 무언가 큰 응급처치를 해야할수도 있을것 같다는 느낌? 역시 아직까지도 부족한게 너무 많다고 느끼며, 차근차근 나아가자 오늘은 무엇을 적어야 할지 애매하다.
내가 한 것들(TIL을 참고하여 작성) 모던자바스크립트 독서 3시간 객체지향에대한 공부 아키텍쳐 패턴에 대한 이해와 계층형 아키텍쳐 패턴적용 소켓, TCP,UDP에 대하 공부 테스트코드를 사용에대한 필요성이해 이번주 이루고 싶은것들 관계형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해도올리기 TDD이해도 올리기 협업에 익숙해지기 지난 주특기 주차 배웠던것들 정리하기 주간 회고 시간이 지날수록 가속도가 붙는것 같다. 어떻게 일주일이 지났는지도 모를만큼 정말 빠르게 하루 하루들이 흘러가는것 같다. 배우면 배울수록 더 알아야 해지는것들이 많아지는것같고 내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게 맞는가 라는 의문이 들어가기도 한다. 물론 이 짧은기간에 모든것 을 다 이해할수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냥 좌절은 하지않으려고 한다. 할 ..
CORS에 들어가기 앞서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는 same origin policy를 가지고있다. 이것을 우선 같이 알아보자 SOP(same-origin policy(동일출처 정책)) 어떤 출처에서 불러온 문서나 스크립트가 다른 출처에서 가져온 리소스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중요한 보안 방식이다. 출처: MDN 악성 url로 접속하는 상황 등을 막기위해 하나의 웹은 하나의 서버(동일 출처)의 연결만을 허용하는 정책이다. 동일 출처(origin)의 조건 아래 세가지 요소가 동일해야 동일 출처로 허용한다. 프로토콜 호스트(도메인) 포트번호 url 구성 요소 우리가 흔히 보는 www.naver.com과 같은 url은 아래와 같이 여러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CORS의 필요성 cross-origin 요청이 ..
오늘의 한줄평 모르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지 말자!! 근데 언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을까..ㅜ 오늘 한 것 / 공부한 것/ 느낀 것 ERD작성을 하면서 관계형데이터에대해 좀 더 공부 SQL강좌 공부 및 정리 관계형 데이터 구현 내일 할 것 SQL 남은 강의 마져 듣기 DB구성 오늘 회고 오늘 하루도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를 만큼 하루가 빨리 갔다. 오전에 빠르게 과제를 해결하고 db의 관계형 데이터를 만들어 보려고 하였다. 하지만 공식사이트와 온갖 예제를 찾아보아도 답을 찾을 수가 없어서, 도대체 어떻게 해결해야하지 막막함만 들었었다. 한글 문서에서 찾을수없어서 영어로 검색을 하였는데도, 봐도... 이해를 할 수가 없어서 큰 답답함을 느꼈다. 앞으로도 모르는 기능이 나와도 스스로 어느 정도 해결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