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일상
HTTPS 와 SSL 인증서(1탄) 본문
HTTP와 HTTPS란??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Securesocket layer)
html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이 가진 보안의 약점을 보완한것
HTTPS와 SSL은???
HTTP는 SSL위에서 돌아가는 서비스이다.
이 HTTP가 SSL을 이용하게되면 HTTPS인것이다.
SSL과 TLS는?
같은 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SSL은 네스케이프에 의해서 발명이 되었다. 이것이 점차 폭넓게 사용이 되다가
표준화 기구인 IETF의 관리로 변경이 되고 TLS라는 이름으로 변경이 되었다.
TIS1.0은 SSL3.0을 계승한다.
즉 현재 정확한 명칭으로는 SSL은 TLS라고 보는게 좀더 정화하다.
그렇지만 오래된 역사 사용성으로 인해 SSL이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
SSL디지털 인증서
SSL 인증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제 3자가 보증해주는 전자화된 문서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한 직후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겟 이인증서 정보를 전달한다.
클라이언튼는 이 인증서 정보가 신뢰 할 수 있는 것인지를 검증한 후에 다음 절차를 수행한다.
SSL 이용시 장점
-통신내용이 공격자에에게 노출되는것을 막을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려는 서버가 신뢰 할 수있는 서버인지를 판단할 수있다.
-통신 내용의 악의적인 변경을 방지 할 수있다.
SSL에서 사용하는 암호화의 종류
1)대칭키
암호를 만드는 행위는 암호화
암호를 푸는 행위는 복호화
암호를 주고받는 사람들은 위를 실행 할 수있는 같은 키가 있어야 한다.
단점 :암호를 주고받는 사람들 사이에 대칭키를 전달하는 것이 어렵다.
2)공개키
공개키 방식은 두개의 키를 갖게 되는데 A키로 암호화를 하면 B키로 복호화 할 수 있고,
B키로 암호화하면 A키로 복호화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 착안해서 두개의 키 중 하나를 비공개키(private key, 개인키, 비밀키라고도 부른다)로하고,
나머지를 공개키(public key)로 지정한다.
레퍼런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 99 알고리즘 테스트 (0) | 2022.07.21 |
---|---|
git 이란?? git 하는 법!! (0) | 2022.07.14 |
[JS] 제일 작은수 제거 하기 (프로그래머스 코테) (0) | 2022.06.01 |
[JS] 짝수와 홀수 (프로그래머스 코테) (0) | 2022.06.01 |
[JS] 평균값 구하기 (프로그래머스 코테) (0) | 2022.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