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mysql
- 트러블슈팅
- nest.js
- 자바스크립트
- mongo
- 생각일기
- 기록
- MongoDB
- 생각정리
- 회고
- mongoose
- Git
- react
- 알고리즘
- next.js
- WIL
- 피드백
- 네트워크
- 주간회고
- array
- CS
- 리눅스
- til
- Java
- js
- javascript
- Grafana
- typescript
- 생각로그
- 코테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88)
코딩일상
들어가기 앞서 형변환에 대해 설명을하고 내용에 들어가겠다. 형변환이란?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문자를 숫자로, 숫자를 문자로 변환해야한는 경우가 생긴다. 이렇게 타입형태를 바꾸는 것을 형변환이라고 하며, 형변환에 방법에는 명시적 변환, 암시적 변환이 존재한다. 명시적 변환이란? 명시적 변화은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형변환을 하는것이다. 기본적인 형변환은 Object(),Nubmer(),String(), Boolean()과 같은 함수를 이용한다. let variable = 100 console.log(variable, typeof variable) // 100 "number" variable = Object(variable) console.log(variable, typeof variable) // Number..
JavaScript의 변수타입 JavaScript의 변수 타입에는 크게 원시타입과 참조타입으로 나누어져있습니다. 원시타입(PrimitiveType)의 변수들은 데이터복사가 일어날때 메모리공간을 새로 확보하며 독립적인 값을 저장한다. 참조타입(ReferneceType)은 메모리에 직접접근이 아닌 메모리의 위치(주소)에 대한 간접적인 참조를 통해 메모리에 접근하는 데이터 타입이다. 값 타입(Value Type) JavaScript에서 원시타입은 변수에 할당될때, 메모리의 고정크기로 원시값을 저장하고 해당 저장된 값을 변수가 직접적으로 가리키는 형태이다. 값이 절대 변하지 않는 불변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재할당시 기존 값이 변하는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사실 새로운 메모리에 재할당한 값이 저장되고 변수가 가리키..
들어가기 앞서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의 원시형 타입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들어가기 앞서 자바스크립트의 전체 데이터 타입에 대해 소개하고 들어가겠다. 자바스크립트는 아래와 같은타입들을 가지고있다. 그림을 보게되면 원시형 타입 그리고 참조형타입으로 크게 나누어져있다. 두 데이터 타입에 대해 정말 간다하게 설명을 하자면 아래와같다. 원시형: 값을 바로할당 참조형: 값이 저장된 주소값을 할당 혹시라도 잘 이해가 가지 않으면 추후에 이 두가지 타입에 대해 포스팅하겠다. 원시형 타입(Primitive Types)?? 원시형 타입이 현재 7가지가 있으며 아래와 같은 타입들이 있다 숫자형 Biginit 문자형 불린 null undefined Symbol 1)숫자형 숫자형(numbertype)은 정수 및 부동 소수점 숫자..
호출스택(Call Stack)?? 자바스크립트가 함수실행을 핸들링하는 방법중 하나이다. 이를 좀 더 쉽게 이해 하기위해서는 스택(Stack)을 먼저 이해 하면 편하다. 스택(stack)?? 할일들을 쌓아두고 가장 위에 쌓여있는 일부터 실행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이해가 안가도 괜찮다. 아래 내용들을 진행하면서 스택은 계속 활용되니 말이다. 호출스택 작동방식 우선, 자바스크립트는 단일스레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단일스레드: 일을 처리하는 곳이 하나 인것라고 간단히 우선 생각) 그렇기에 단일 호출스택이 있으며, 즉 한 번에 하나의 일(Task)를 처리 할 수있다는 뜻이다. 호출스택이란 프로그램에서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를 기본적으로 기록하는 데이터구조이다. 함수를 실행하면 해당함수의 기록을 스택에 추..
소개 아래 깃허브 오픈레포지토리를 기준으로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로써 필수로 알아야하는 33가지 개념을 정리해나아가보려합니다. GitHub - leonardomso/33-js-concepts: 📜 33 JavaScript concepts every developer should know. 📜 33 JavaScript concepts every developer should know. - GitHub - leonardomso/33-js-concepts: 📜 33 JavaScript concepts every developer should know. github.com 시리즈 작성과정 33가지에 주제를 나열해둔뒤 주제별 공부후 블로그 글이 작성이되면 링크를 부여해놓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호출스택 원시자료형 값 ..
현실의 나를 돌아보다 항해99를 마치고 3주뒤에 운이좋게 나를 좋게 봐주신곳에서 최종합격을 하였다. 그때는 나는 자신감을 넘어 약간 오만하기도 하였다. 즉, 나의 실력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못하였다고 볼수있었다. 아 그래 1032시간동안 죽어라 고생한 보람이 그래도 나오구나, 그렇게 실력이 없는 사람이 아니구나라는 생각을 하였었다. 그리고 당연하게 더 좋은곳에 갈 수있으리라 생각을 하고 연락을주었던 회상에 연락을 드려 죄송하지만 못갈것같다고 이야기를 하였다. 하지만 이 후 끝도없는 탈락 차라리 면접에서 떨어졌다면 피드백이라도 받을수 있을테지만, 약 90여개의 서류탈락을하였다. 그래도 다행히 2번의 면접을 보았다. 그래서 면접이 너무나도 고마웠고 항상 면접이 끝나면 면접관분들께 "실례가 되지않으면 저가 ..
정렬알고리즘의 종류 정렬알고리즘의 종류로써는 아래와같은것들이 있다. 버블 정렬(Bubble Sort) 선택정렬(Selection Sort) 삽입정렬(Inser Sort) 등등..... 위 정렬 알고리즘이 가장 빠른 정렬 알고리즘은 아니다 설명하기 쉬운 알고림즘 종류들이며 그 이유는 사람들이 정렬을하는 방법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1)버블정렬(Bubble Sort) 배열의 처음부터 두개의 값을 비교를 한 후 첫 번째값이 더큰 경우 자리를 바꾼다(swap)을 한다. 예) 위 사진의 경우 2,5를 비교한후 첫번째가 더 작기에 가만히 있고, 그 다음 5,3을 비교한후 5가 더 크기에 자리를 바꾼다. 이런 방식을 처음 부터 끝까지 진행한다. 이렇게 한 싸이클을 진행할 경우 가장큰수가 맨 뒤에 가긴하지만 그외의 숫자..
들어가기전 알고리즘이란?? 우리가 작업을 수행하기 필요하기위한 절차와 스텝을 말한다. 알고리즘 또한 자료구조처럼 시간복잡도(Time Complexity)가 낮은 것이 좋다. 이진 탐색을 공부하기 앞서 먼저 선형 탐색에 대해 공부해보겠다. 선형 탐색(Linear Search) 알고리즘?? 검색(search)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그림과 같이 찾는값이 7일 경우 처음부터 하나씩 데이터를 비교해서 원하는 값을 찾는 방식이다. 단점 데이터의 길이가 길어길수록 비례하여 검색속도가 느려진다. 이렇게 데이터가 늘어남에 따라 수행시간이 오래걸리는것을 선형시간 복잡도(Linear Time Complexity)라고 한다. 빅오 표기법 으로나타내자면 O(n)이라고 볼수 있다. 선형검색 알고리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
1)자료구조를 들어가기 앞서 시간복잡도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시간복잡도(TimeComplexity) 처음 이용어를 접했을때는 뭐 멍멍이 소리이지라고 생각을 하였다. 시간복잡도는 데이터구조의 오퍼레이션 혹은 알고리즘이 얼마나 빠르고, 느린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실제 시간을 측정하는것은 아니다. 얼마나 많은 단계(step)이 있는지에 따라 구분한다 좀 더 자세한것은 따로 포스팅을 하겠다. 2)메모리 관점에서의 배열?? 메모리의 종류는 2가지로 볼 수있다. -휘발성(volatile) 메모리 ex)내 컴퓨터의 램(RAM: Random Access Memmory)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ex)내컴퓨터의 하드드라이브 여기서 잠깐?? 왜 램은 Random Access Me..
왜 우린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을 배워야할까?? 개인적으로 이유를 모르는채 무언가를 그냥 배우는것 만큼 비효율적인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냥 망망대해에서 노를 젓는것만큼 지치기도 쉽고, 어느쪽으로 저어야 하는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왜?? 다들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우선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말 간단히 결론만 요약하자면, 서비스를 만들어냈고, 배포또한 하여 구동하는데 문제는 없지만 🌠속도가 느린경우? 이를 해결하기위해서 필요한것들이 바로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어떤식으로 컴퓨터 연산을 시킬것인지에대해 이해하고 적용하여 해결을 하려면 서비스에 맞는 알고리즘과 데이터구조를 적용해주어야한다는것이다. 결론 즉, 결국은 성능을 올려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여 고객에게 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