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mongo
- 생각로그
- 자바스크립트
- mongoose
- 네트워크
- Git
- 생각정리
- 알고리즘
- Java
- 생각일기
- next.js
- nest.js
- Grafana
- js
- 주간회고
- til
- 회고
- 코테
- MongoDB
- typescript
- 피드백
- javascript
- 트러블슈팅
- react
- WIL
- 기록
- array
- mysql
- CS
- 리눅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88)
코딩일상
Java Collection 이란?? Java Collection은 Java에서 객체들의 그룹을 나타내고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집합을 말합니다. 이를 사용하면 객체 그룹을 하나의 개체로 저장, 검색 및 조작할 수 있습니다. Java Collection Framework(JCF)은 객체 그룹을 관리하는 데 일반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클래스 및 알고리즘의 집합입니다. JCF에는 List, Set 및 Map과 같은 여러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 다른 속성과 동작을 갖습니다. 예를 들어 List는 중복 요소를 허용하는 순서가 있는 컬렉션입니다. 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비순서 컬렉션이며 Map은 키-값 쌍의 컬렉션으로 연관된 키에 기반하여 값을 검색..
이번주 느끼고 생각하고 배운 점 들 이번 주 회사에서 한 일에 대해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1. 기존 담당하고 있고 사업 부분 관련 고객요청사항을 최종적 수정하여 전달 2. 2023년도 kpi를 설정 3. 회사에서 돌아가고 있는 서비스 중 node.js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프로세스 파악 나의 생각 1. 프로젝트 마무리 그래도 그나마 내가 처음부터 맡은 프로젝트는 아니었지만, 어쨌든 결국 내가 마무리할 수 있었던 회사에서의 첫 번째 프로젝트여서 나름 뿌듯하였다. 그래도 아쉬웠던 점은 내가 알고 있는 지식과 능력들이 있었으면 더 나은 퀄리티의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도 있었을 것 같은데, 그러지 못했던 점이 아쉬웠다. 이번에는 반영하지 못했지만 그런 아쉬웠던 점들을 기록하고 배워가며 추후 프로젝트에서..
작성하게 된 이유 프로그래머스에서 문제를 풀고 나면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볼 수 있는 데 거기서 대부분 stringBuilder라는 것을 사용하길래 뭐길래 다들 이렇게 사용한 지 궁금하여 정리하게 되었다. StringBuilder 예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 요소 추가 sb.append("Hello"); System.out.println(sb);//Hello sb.append("World"); System.out.println(sb);//HelloWorld // 문자열 가져오기 String str = sb.toString(); System.out.println(str);//Hell..
이번주 느끼고 생각하고 배운점 들 이번주 월요일 나의 메인 부서가 정해졌다. 데이터관리 부서로 배정이 되었다. 물론 부서이동을 하였다고 완벽하게 데이터 관리만 하지는 않을것이다. 현재 회사의 개발부서가 생긴지 1년이 채되지 않아 인력풀이 충분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그렇기에 지금의 상황이 마음에 든다. 이제 개발이라는 거자체를 제대로 한지 6개월이조금 지난 상태에서 하나에 만 집중하느것 보다 전반적인것들을 다 경험하고 싶은 마음이 더 크기 때문이다. 그렇게 전반적인 것들을 경험하고 프로세스를 느끼고 난후에 그중 내가 원하거나 보았을때 더 비전있어 보이는곳을 선택하는것이 앞으로 나의 커리어에 더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번주는 생각보다 정신이 없이 지나간거 같다. 옆자..
이번주 느끼고 생각한 점들 npm package agenda가 기존 서버에 적용이 되어있어 있었다. 이를 수정하고 보수해야 하는 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의 오류를 찾을 수 있었다. 어떻게 보면 항상 기본적으로 JS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const를 사용하였다. 아무래도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이슈를 사전 차단하기 위해서 const를 사용한 것인데 어느새 너무 아무 생각도 없이 const를 남발을 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로 에러를 만나게 되었다. 디버깅으로 보았을 때도 문제가 없어 보였는데 응답을 줘야 하는 곳에서 자꾸 요청을 끊어버리길래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가를 삽질을 하다가 퇴근을 하였다. 그러다 문득 집 가는 길에 요청을 보내는 값이 가변적으로 바뀌어야 하는데 그 부분이 const로 되어있다는 ..
이번주 배운 점들 요즘 주어진 과제를 진행할 때마다 새롭게 배운 것들이 많아 일을 하다 보면 한쪽 모니터에는 수많은 검색 결과 창들이 띄어져 있다. 제대로 소화를 다 했으면 좋겠다고 마음은 하지만 실천을 아직 제대로 하지 못해서 스스로에게 아쉽다. 그래도 마치기 전에 그대로 창을 닫지는 않고 링크들을 따로 개인노션에다가 하고 있어 주말에 한번 쭉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이번주는 어쩌다 보니 다시 node.js로 구성된 서버를 유지보수하게 되었는데 반갑웠다. 하지만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남의 코드를 다시 하나하나 파악하는 것이 제일 어려운 일인 것 같다. 그래도 예전보다는 수월하게 디버깅도 하고 노드는 해왔던 것들이 spring보다는 많아 익숙하여 걱정 없이 시작하였다. 그렇다고 쉽게 해결되진 않았던 것..
벌써 4주차라니.. 곧 회사에 입사를 한지도 한달이 다 되어간다. 역시 일을 하니 시간이 더욱 더 빨리 가는것같다. 아직도 모든것이 새롭고 어색한 부분들이 있지만, 확실히 시간이 약(?)인듯 이제 점점 나의 자리또한 익숙해져가고있다. 이번주 배운점들 사실 기존에는 정말 백엔드로써 프론트를 전혀 안하다보니 회사에서 간단한 값들을 보여주는 부분의 하는것 조차도부담이 느껴지는 순간들이 많았다. 역시 안하던것을 하려고 하니 어색했던것 같다. 그래도 어쨌든 꾸준히 계속하게 되니 브라우저 개발자 툴을 사용하는법도 익숙해지게되었다. 이제는 어디서 어떤 이벤트로써 진행이 되는지 엄청 빠르게 파악은 아니더라도 차근차근 파악 할수있게 되었다. 아무래도 기존 프로젝트 만들어진 코드를(즉, 내가 만든 코드가 아닌) 보니 왜 ..
시간이 정말 빨리 가는 것 같다. 엊그제 첫 출근을 한 것 같은데 벌써 3주가 지났다니 믿기지가 않는다. 그래도 시간이 빠르다는것은 그만큼 집중을 했던 시간이 많았다느 것이라 생각한다. 1주차때는 주어진 task도 없어 그냥 솔직히 회사에서 현재 쓰고 있는 언어와 프레임워크에 대해 공부만 하였다. 그리고 간간히 프로젝트의 구성과 전반적인 과정에대해 설명을 듣고 말이다. 확실히 기업에서의 프로젝트 규모는 내가 한...것이라 전혀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방대하였다 왜 컨벤션이 존재하고 규칙들이 있는지 알것 같았다. (이런 것들이 없다면 유지보수 및 관리가 너무 나도 힘들 것 같았다) 사실 부트캠프에서 프로젝트를 할때는 그냥 하면 좋다고 하니깐 컨벤션과 룰들을 정했던 것이었다. 오히려 굳이 이렇게 많은 제약들..
MySQL 에서는 현재 시각을 조회하는 함수로 NOW() 와 SYSDATE 함수가 있으며 현재의 시간을 반환하는 같은 기능을 수행 SELECT NOW(); SELECT SYSDATE(); 시간 결과 차이 먼저 SYSDATE() 는 같은 SQL 에서도 조회 시점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지게 됩니다. mysql> Select NOW(), SLEEP(5), NOW(); +---------------------+----------+---------------------+ | NOW() | SLEEP(5) | NOW() | +---------------------+----------+---------------------+ | 2017-10-31 09:57:36 | 0 | 2017-10-31 09:57:36 | +-..
nestat 명령어란?? nestat(network statistic)명령어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등 수 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또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를 위한 네트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줄 도구이다. 네트워크 통계( netstat) 명령은 문제 해결 및 구성에 사용되는 네트워킹 도구이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에 대한 모니터링 도구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수신 및 발신 연결, 라우팅 테이블, 포트 수신 및 사용 통계는 모두 이 명령의 일반적인 용도입니다. netstat -a TCP와 UDP를 모두 사용하여 모든 수신 포트를 나열 nestat -at TCP 모든 수신 포트를 나열 nestat -au UDP 모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