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록 (94)
코딩일상
원인 프로젝트를 세팅하다가 dependecy를 처음부터 다세팅을 해두었다. (위처럼 주석 처리를 하지 않고) 그리고 우선 mongoDB에 연동하기 위한 작업을 한후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였고 그 결과값으로 본 포스팅을 작성하게된 원인인(Failed to determine a suitable driver class을 만나게 되었다. 생각해보니 나는 코드로 이러한 dependecy를 쓴다고 명령을 해놓고 그 datasource들을 작성하지 않았기에 컴퓨터는 계속해서 찾아야 했기에 생겼던 문제였다. 해결법을 알고나니 너무나도 당연한것이었는데 삽질만 했다.. 그래도 이 삽질 때문에 코드의 순서를 파악하게 되었다. DB 연결하는 순서 1)dependecy를 gradle이나 pom에 작성을 한다. 2) applic..
이번 주 하고 배우고 느낀 것들 남이 만들어놓은 코드 파악완료 후 문서화 도메인 지식 업그레이드(전기차 배터리 어렵군..) 개발세미나 준비 및 발표 남이 만들어놓은 코드 파악완료 후 문서화 드디어 저번주 부터 했었던 기존 서비스를 파악완료를 하였다. 결과론적으로 이야기를 하자면 진짜 앞으로는 항상 코드를 작성을 할 때 누가 봐도 이해하기 쉽게 작성을 해야겠다 생각을 하였다. 물론 작성하신분도 그 자기 자신 만의 논리로 작성을 하신 것처럼 보이긴 하였다. 하지만 그 전체적인 흐름을 처음보는 사람이 파악하려는 과정의 depth를 너무 길고 복잡하게 해 놓았다는 점과 전혀 알아볼수 없는 변수와 함수들의 잔치들로 인해 나한테는 지옥과 같았다. 분명 방금까지는 이 변수가 가진 의미가 이거인 거 같았는데 그사이 또..
이번 주 하고 배우고 느낀 것들 slack 알림을 통해 서비스 유지 보수 파악개선 데이터 backup 배치 기능 추가 JavaScript heap에 대한 개념 추가 정리 AWS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python(Flask) 서비스 파악 데이터 관리(임베디드라 해야하나..?) gz?? zip?? slack 알림을 통해 서비스 유지 보수 파악개선 현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들이 많은 것은 알고있었지만 이번주 이에대한 유지 보수 문서화를 하면서 정말 많은 서비스들이 있음을 알게되었다. 이를 제대로 유지 및 관리 하기 위해서 매일 체크를 하고 파악을 하면 좋지만 이또한 짧은 시간이 드는것이 아니니 이를 Slack으로 하는 작업을 이번주 진행하게 되었다. 물론 전부 하지 않고 내가 담당한 부분에 대해서 나는 ..
let result = connection.query('select * from table') 위와 같이 DB를 조회 하여 result에 값을 담는 과정에서 RangeError: Invalid string length 라는에러가 발생하였다. 처음 보는 에러 여서 ?? 이게 뭐지 하고 이 에러에 대해 알아보니 이런 뜻이었다. "RangeError: Invalid string length" 오류는 JavaScript에서 허용되는 최대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의 문자열을 만들려고 할 때 발생 길이가 2^53-1(JavaScript의 최대 안전 정수)보다 큰 문자열을 만들려고 할 때. 이것은 매우 큰 문자열을 연결하여 문자열을 만들거나 길이가 매우 큰 문자열을 만들려고 할 때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가 너무 커서 ..
이번 주 하고 배우고 느낀 것들 본사에서 도메인(전기차 배터리) 관련 교육 도메인 관련 컨퍼런스 참여 crontab으로 이루어진 shell부분 코드화 담당 서비스 유지보지보수 개인 공부: 김영한 강사님의 spring 강의 2편 수강중 본사에서 도메인(전기차 배터리) 관련 교육/ 도메인 관련 컨퍼런스 참여 개발자로서의 삶도 처음이지만 현재 회사의 도메인부분또한 인생 처음으로 겪는 부분이어서 개발을 하면서도 모르는 용어들(변수)이 너무 많았고 과연 내가 제대로 서비스를 이해하고 있는가에 대한 부분이 스스로 만족스럽지 못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나 팀원들에게서도 이부분들을 물어가면서 지식들을 채워가고있었지만 현 회사의 도메인 부분의 깊이가 있다보니 아무래도 벽이 있었다.(팀원분들도 아무래도 이쪽 도메인은 다들 ..
이번 주 하고 배우고 느낀 것들 인수인계받아 담당 중인 서비스 문서화 can 통신 공부 docker를 통한 로컬 데이터 서버 띄우고 dev단계에서 운영방식 습득 개인 공부: 김영한 강사님의 spring 강의 1편 수강완료 개인 공부: React 스터가 개인 도전: 사이드 프로젝트 기획 이번주는 수요일이 공휴일이어서 그런지 정말 빨리 간 거 같다. 회사에서 급한일정이 확몰아치고 가서 살짝의 예유가 있는 지금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를 내가 맡게 되었다.(유지보수 복잡한건 아닌...) 기존에는 수정사항 이나 요청사항이 올 때마다 코드를 다시 뜯어보고 위치를 파악해서 문제를 해결하여 땜질식으로 하였는데, 개인적으로 내가 만든 서비스가 아니다보니 서비스에 전체적인 흐름과 설계도가 그려지지 않아 문서화를 진..
이번주 느끼고 생각하고 배운 점 들 1. 서버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에러 알림을 slack으로도 반영할 수 있게 기능구현 2. 배치스케줄을 spring에서도 구현 3. 현재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받는 데이터들 매핑을 위한 문서 작성 4.현 회사 개발세미나 및 코드리뷰 문화 개선의견 나누기 등 5.도커 로그 파악하는 방법 6.네트워크 연결 체크 방법 7.git 새로운 명령어들(git rebase, git cherry-pick ...) 더불어 회사에 새로운 백엔드 경력자 분이 오셨다. 더 많은 것들을 배워나갈수 있고 의견을 나눌수있어 좋았다.물론 그 만큼 나도 배우고 노력을 해서 팔로우를 해야할게 더 많지만 그래도 배움을 더 많이 할 수있음에 행복했다. 아무래도 현 회사 사업에 대한 도메인 지식이 부족하다..
VSCode 플러그인 Console Ninja 에러 내용 ReferenceError: patch$cn is not defined at load$1 (file:///C:/Users/pc/AppData/Local/Temp/6a0d49cbe03ac47d39e25af9331daddc.mjs:195:13) 해결 방법 Console Ninja 설치후 위와같은 에러발생하면 플러그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삭제를 해야한다.
이번주 느끼고 생각하고 배운 점 들 이번 주 회사에서 한 일에 대해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1. 기존 담당하고 있고 사업 부분 관련 고객요청사항을 최종적 수정하여 전달 2. 2023년도 kpi를 설정 3. 회사에서 돌아가고 있는 서비스 중 node.js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프로세스 파악 나의 생각 1. 프로젝트 마무리 그래도 그나마 내가 처음부터 맡은 프로젝트는 아니었지만, 어쨌든 결국 내가 마무리할 수 있었던 회사에서의 첫 번째 프로젝트여서 나름 뿌듯하였다. 그래도 아쉬웠던 점은 내가 알고 있는 지식과 능력들이 있었으면 더 나은 퀄리티의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도 있었을 것 같은데, 그러지 못했던 점이 아쉬웠다. 이번에는 반영하지 못했지만 그런 아쉬웠던 점들을 기록하고 배워가며 추후 프로젝트에서..
이번주 느끼고 생각하고 배운점 들 이번주 월요일 나의 메인 부서가 정해졌다. 데이터관리 부서로 배정이 되었다. 물론 부서이동을 하였다고 완벽하게 데이터 관리만 하지는 않을것이다. 현재 회사의 개발부서가 생긴지 1년이 채되지 않아 인력풀이 충분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그렇기에 지금의 상황이 마음에 든다. 이제 개발이라는 거자체를 제대로 한지 6개월이조금 지난 상태에서 하나에 만 집중하느것 보다 전반적인것들을 다 경험하고 싶은 마음이 더 크기 때문이다. 그렇게 전반적인 것들을 경험하고 프로세스를 느끼고 난후에 그중 내가 원하거나 보았을때 더 비전있어 보이는곳을 선택하는것이 앞으로 나의 커리어에 더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번주는 생각보다 정신이 없이 지나간거 같다. 옆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