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WIL
- 코테
- CS
- mongoose
- nest.js
- 네트워크
- 주간회고
- mongo
- 자바스크립트
- 생각로그
- js
- 회고
- 리눅스
- 알고리즘
- MongoDB
- Grafana
- 생각일기
- array
- 생각정리
- 기록
- react
- 피드백
- javascript
- Git
- til
- mysql
- typescript
- next.js
- 트러블슈팅
- Java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88)
코딩일상
[ERROR] bad class file: /Users/catap/.m2/repository/com/github/ben-manes/caffeine/caffeine/3.0.0/caffeine-3.0.0.jar(com/github/benmanes/caffeine/cache/Cache.class) [ERROR] class file has wrong version 55.0, should be 52.0 [ERROR] Please remove or make sure it appears in the correct subdirectory of the classpath. 빨간색 글씨의 위치의 빌드된 jar 파일을 지우고 java 버전을 11로 변경후 빌드진행 후 재시작 참고 글 JDK8 doesn't supported?..
@Data를 사용하는데 왜 사용하는지 알고싶어서 정리 한 글 @Data 를 사용하면 적용되는 lombok 어노 테이션 들 @Getter @Setter @ToString @EqualsAndHashCod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rivate String address; } import lombok.Data; @Data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rivate String address; } @Data 적용 결과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정리이유 원격으로 접속한 리눅스 서버에서 파일을 나의 컴퓨터로 복사해서 가져올일이 생겼다. 그런데 파일이 너무 많아 하나하나 가져오는것보다는 그 파일들을 하나로 압축하여 가져오면 좋을거 같다는 생각에 알아보던중 tar이라는것이 있기에 정리 해보자한다.(그냥 결국 내가 다시보기위해서) 대부분은 급하게 명령어를 보고싶어하실테니 명령어 먼저(나도 그렇다) 0.tar 명령어들 현재 경로 기준 하나의 폴더 tar 압축하기 tar -cvf [파일명.tar] [폴더명] ex)tar -cvf aaa.tar abc 현재 경로 기준 파일 및 디렉토리 tar 압축하기 tar -cvf [파일명.tar] [파일명(확장자명같이)] [파일명(확장자명같이)] [디렉토리] ex)tar -cvf myfiles.tar file1.txt ..
정리이유 몽고 DB TimeStamp를 다루다 Java Time Instant를 사용할 일이 생겼음 기존에 사용하던 LocalDateTime과는 무엇이 다른지 몰랐었고 그것을 알아보는 김에 LocalDateTime에대해서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위해 이 포스팅을 하게됢 1. Instant Instant는 UTC 시간대를 기준으로 타임라인의 특정 시점을 나타내는 Java 클래스입니다. 에포크(1970년 1월 1일, 00:00:00 UTC) 이후 나노초 단위로 측정된 고정밀 시간 표현을 제공 Instant는 시간 기반 계산을 수행하거나, 경과 시간을 측정하거나, 표준 시간대 또는 로컬 표현과 독립적인 타임스탬프로 작업해야 하는 시나리오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서버 응용 프로그램, 분산 시스템 및 시간에 민..
공부하게된 원인 Flutter에서 Image.netWork을 통해 이미지 링크를 요청하였는데 에러발생 The following NetworkImageLoadException was thrown resolving an image codec: HTTP request failed, statusCode: 403, 위 에러 발생원인 User-Agent가 필요하다함 이게 뭔가 해서 찾아보고 정리함 User-Agent 란?? User-Agent는 HTTP 요청을 보내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앱 등)의 식별 정보를 담은 헤더입니다. User-Agent 헤더는 웹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는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 버전, 운영 체제 등의 정보를 전달하여 서버에서 적절한 응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User-Agen..
살아있습니다! 이번 주 한 것 들과 배운 것들 하이브리드 Flutter 공부하기 노드에 템플릿리터럴 적용(ejs )과 다양한 오픈소스??(chart.js ,grid.js) Instance?? java.util.time 에러 하다 알게된 용어 User-Agent, EUCKR AWS s3 (스토리지 클래스) Flutter 공부하기(하이브리드 앱 만들어보자) 백엔드로서 회사에서 일을 하고있다 보니 프론트 client쪽을 하고싶다는 욕망(남의 떡이 더 커보인다는 생각이랄까..)이 생겨서 무엇을 해볼까 고민을 하던중 Flutter가 나의 눈의 사로잡았고 단순히 재미도있어 보이기도 하여 시작을 하게되었다. 역시 처음 배울때는 단순이론보다 실제로 만들어보는것이 그 프레임워크를 이해하기에 가장 좋다 생각하기에 무작정 ..
이번 주 한 것들 자바의 정석 1권 완독 1회 JDBC, Mybatis 설정 +MsSQL,MongoDB,MariaDB(우연치 않게 여러디비를 datacofig를 통해 만들어볼수있게되었음) DB aggregate function 실제 서비스에 적용(node.js + spring) springboot로 AtoZ까지 실제로 경험 완료(배치 서비스 구현) Transaction Rollback을 다루면서 CheckedException 과 uncheckedException에 대해 알게되었음 Docker 공부 가상화란>?? 너무 어려움././ 왜 도커를 쓰게되었을까? 서비스와 시스템의 객체 지향??
*글 작성 계기 spring boot를 처음 접하면서 몽고DB를 연동하고 메서드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껴서 정리차원에서 작성함 의존성 주입 Gradle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mongodb' Maven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starter-data-mongodb Configuration 설정 @Configuration public class MongoConfig extends AbstractMongoClientConfiguration { @Value("${spring.data.mongodb.uri}") private String uri; @Value("${spring..
우선 한동안 글을 올리지 않은 것들에 대해 저 자신에게 미안하다 말을 하며 이번주 글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ㅜㅜ 이번 주 한 것들 신규 데이터 정의서를 파악하여 기존 데이터 레이아웃에 맞추어 설계 진행 자바의 정석 1권 1회 완독 2권 0.5 진행 최종 목표 완독 3회 JDBC, Mybatis 설정 +MsSQL,MongoDB 연동 CS 공부 네트워크, 프로세스, 쓰레드 등등(출퇴근길 공부) DB aggregate function 기능 적용 및 공부 신규 데이터 정의서를 파악하여 기존 데이터 레이아웃에 맞추어 설계 진행 2주 전에 기존 코드 문서의 내용들을 파악하고 나름 나만에 맞게 설계를 잘했다고 생각을 하였는데, 아직 완벽하게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코딩을 하면서 스스로 느껴졌다. 코딩을 하면서도 설계가 ..
원인 프로젝트를 세팅하다가 dependecy를 처음부터 다세팅을 해두었다. (위처럼 주석 처리를 하지 않고) 그리고 우선 mongoDB에 연동하기 위한 작업을 한후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였고 그 결과값으로 본 포스팅을 작성하게된 원인인(Failed to determine a suitable driver class을 만나게 되었다. 생각해보니 나는 코드로 이러한 dependecy를 쓴다고 명령을 해놓고 그 datasource들을 작성하지 않았기에 컴퓨터는 계속해서 찾아야 했기에 생겼던 문제였다. 해결법을 알고나니 너무나도 당연한것이었는데 삽질만 했다.. 그래도 이 삽질 때문에 코드의 순서를 파악하게 되었다. DB 연결하는 순서 1)dependecy를 gradle이나 pom에 작성을 한다. 2) app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