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Etc (15)
코딩일상
사전시험에 대해 나의 준비과정 항해 99 부트캠프를 신청하고 나서 면접이라는 관문(?)후 사전시험이 있을줄 몰랐는데,, 입학전 사전시험이 있다는 말을 듣게되고 저자는 크나큰 좌절을 하였다(?) 이유는 퇴사후 항해 99를 시작하기전 까지는 신나게 놀려고했고 그동안 서로서로 바빠 하지 못했던 제주도 가족여행을 예매 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너무 당황해서 어떻게 해야하나 잠시 고민을 했지만, 그래도 무엇을 준비해야하고 어느정도 해야하는지를 (웹개발 종합수업을 2회독 하면 시험치는데는 문제가 없다고 하셨다) 알려주시니 그것을 가지고 남은 일정에 맞춰 계획을 만들어보았다. 계획을 해보니 실질직으로 내가 공부 할 수있는 날들이 7일 정도가 가능하였다. 그래서 우선 1회독을 2일안에 끝내고 남은 날들에 2회독을 천천..
항해 99를 신청하고 나서 0주차인 지금 뜻하지 않게 빡세게 공부를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사전 시험이 있기 때문이다. 아..이를 몰랐던것은 내가 자세하게 커리큘럼을 읽어보지 않았던것같다. 신청할 하고 나니깐 항해를 시작하기 전에 사전시험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그것도 모른체 7월초 가족과의 여행을 계획한 나는 어떻게든 그 남은 시간을 시험준비를 마무리 하기위해 준비를 했다. 그래도 회사를 다니면서 퇴근후 조금씩 진행했던 공부들 덕분에 그렇게 까지 힘들지는 않았으며, 3일안에 1회독을 완료하였다. 그렇게 오늘은 2회독을 진행하였는데 어색하게만 느껴졌던 코드들이 조금은 친근해 보였고(?) 의미를 느끼면서 코딩을 하게 되었다. (물론,아직도 모르는게 천지이다.) 여튼 이렇게 무작정 코딩을 외워야한다기 보단..
결론 분류의 단위들 Variable(변수),Method(매소드) < Class(클래스) < Package(패키지) 위같은 분류들을 통해 API를 이루며 좀더 편하게 우리들은 파악을 할수있다. 참고) 자바API document Java Platform SE 7 docs.oracle.com 무엇이든 정리가 기본이고 정리의 기본은 분류이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낮은 단위에서 부터 시작하명 변수와 메소드가 있다 이두가지요소를 합한것이 클래스이며 비슷한 성격의 클래스들을 묶어놓은것이 패키지라고 볼수있다. 이러한 개념을 알고 있다 면 API를 볼때 좀더 익숙하고 편하게 볼수있다. 배움으로써 세상의 선명도를 오늘도 좀더 올렸다.
API 어플리케이션 자체기능 프로그래밍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동 진행 인퍼런스 사용방법및 사용 UI 유저 사용자가 보는 입장 및 사용 인퍼런스 사용방법 및 사용 내가 만든API를 통해서 UI가 바로 이뤄질수도 있으며 이 API가 또다른 프로그램에서의 API의 한부분이 될수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