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기록
- mysql
- WIL
- Java
- 알고리즘
- nest.js
- 리눅스
- 피드백
- Git
- CS
- 자바스크립트
- 코테
- 생각정리
- typescript
- 주간회고
- array
- 네트워크
- 생각일기
- 트러블슈팅
- next.js
- MongoDB
- til
- mongo
- Grafana
- 생각로그
- react
- mongoose
- js
- javascript
- 회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88)
코딩일상
면접을 보고왔다.내가 보아왔던 다른 곳보다 지원자를 대해주는 태도가 좋았다. 뭐 그냥 잘챙겨주고 이런것 으로 쓰는것이 아니라. 나의 이력서를 미리 읽어서 질문을 해주셨고(미리 이력서를 하나하나 봐주신 느낌이 질문에서 느껴짐) 나의 깃험과 블로그 글들을 다들 읽어보셨고 이에 대한이야기들도 해주셨다. 솔직히 첫번째 면접에서는 너무 이런거 없이 백엔드 개발자로써 나를 바라봐주지 않고 그냥 이야기만 하는느낌이어서, 좀 아쉬웠었다. 그렇기에 더 지원한곳에 대한 애착이 면접을 통해서 커졌으며, 생각지 못한 애정을 조금은 가질수 있었다. 어,, 추가로 감사하게도 면접이 끝나고 개인적으로 이력서, 면접, github에 대한 피드백또한 요청을 했는데 그부분들도 괘념치 않게 이야기를 해주셔서 그냥 단순 면접을 본게 아니라..
요즘 node.js 백엔드 채용공고를 보니 TypeScript 를 다룰수있냐라는 부분이 너무 많이 보여 TypeScript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그냥 무작정 공부를 하는것보다 역시 이유가 있어야 좀 더 내가 공부를 하는데 목표와 동기가 생길것 같아 TypeScript가 왜 생겨 났으며? 뭐가 좋은지에 대해 알아 보았다. 타입스크립트란? JavaScript With Syntax For Types. TypeScript extends JavaScript by adding types to the language. TypeScript speeds up your development experience by catching errors and providing fixes before you even..
입사 면접 과제로 NewsApi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NewsApi 사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이 API를 통해서 하니 정말 쉽게 전세계 곳곳의 News를 쉽게 가져올수 있어서 좋았다. NewsApi 소개api명답게 news정보를 가져올수 있는 open api 이다. News API – Search News and Blog Articles on the Web“Ascender AI has a mission to apply AI to the media, and NewsAPI is one of our most valuable resources. Ascender is redefining how users interact with complex information, and the NewsAPI ..
어디서 부터 무엇을해야할까?? 부트 캠프가 끝나고 나니 몸은 편안해졌지만 마음이 편안해지지가 않다. 사실 부트캠프를 가기 전에 혼자서 공부를 할때는 과연 내가하는게 과연 올바른가?? 이런 생각도 많이들고 정말 제대로 해도 모자랄판에 이렇게 찔끔 찔끔씩해서 과연 제대로 하시는 분들을 따라 잡을수 있을까 등등 많은 고민을 하였다. 열정을 너무 쏟아 부워서 에너지가 동이 나서 그런것 같기도 하다(다 타버린 연탄재 같은 느낌이랄까?) 단기적인 목표가 없이 그냥 저냥 살아와서 그런것같기도 하고 마음이 조금 심란하여 주변 개발자 지인들에게 연락을 하며, 어떻게 준비를 하면 좋을지를 물어보았다. 다들 좋은말들과 여러 조언들을 해주었다. 하지만 답은 정해져있었다. 어쨌든 내가 무언가를 해나아가야하는것이고 그것에 대한 ..
🧑🏻💻배운 것들 ,한 것들 그리고 깨달은 것들 test코드 작성하여 CI부분까지 드디어 완료 Test코드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단순 CI를 하기 위해서(도구적인 관점)도입을 하게 되었음 테스트 코드를 작성을 해보니 코드작성에 대해 고민을 하게되고 어떻게 하면 좀 더 명확한 코드를 짤수있을지에 대한 고민도 하게되어 왜 TDD라는것이 생겨났는지도 조금은 이해가 되었다. 암호학 공부 공부하게된 계기 피드백과정에서 로그인방식 보안에 대해 문의발생 기존 https방식 +비밀번호 보안 bcrypt를 사용중 암호학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다 느낌 대칭키/비대칭키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에 대해 공부 암호학을 공부하던 도중 ssh(Secure Shell Protocol) 원리 또한 여기서 파생된다는것을 깨닫게 되었음 공부를..
환경 Node.js 가 설치 되어 있어야 합니다. artillery Modern performance testing toolkit for DevOps and SRE. Latest version: 2.0.0-23, last published: 2 months ago. Start using artillery in your project by running `npm i artillery`. There are 35 other projects in the npm registry using artillery. www.npmjs.com artillery 테스트를 하기위해서 테스트 방법을 작성을 하여야 합니다. config: target: "http://localhost:3000" //요청을 보낼곳 phases: - ..
GitHub - hanghae99-s8realweek-E3/backend: 항해99 8기 E반 실전 프로젝트 3조, 백엔드 담당 레포지토리입니다 항해99 8기 E반 실전 프로젝트 3조, 백엔드 담당 레포지토리입니다. Contribute to hanghae99-s8realweek-E3/backen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배운 것들 ,한 것들 그리고 깨달은 것들 드디어 첫 서버 배포완료 배포후 속 마음: 속이 너무 나도 시원하다...부족한점 한가득이지만 그래도 나의 첫 자식이 드디어 나오게 되었다는점이 신기하기도 하고 지난 시간이 전혀 아까운것이 아니었음을 느꼈다. 버그 지옥: 배포하기 전에도 내부적으로 테스트도 수없이 ..
0) 작성 이유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고자 한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다른 프로젝트들을 참고를 하다 보니 대부분 nginx를 사용을 하는 것이었다.. 응?? 왜 쓰는 거지 저거를 뭐 들어는 봤는데 다사용하는데는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이 많이 쓰는 것은 다 이유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금 알아보니 이 nginx도 웹서버라고 한다?? 응??? 이미 저거 없어도 서버는 잘 돌아 가는데 왜 필요하지...? 생각이 들었다... 이런 생각을 하다가 멘토링 시간에 만약 어떤 기능을 발견하고 사용을 해보고 싶다면 그 기능이 탄생한 이유에 대해 먼저 파악을 해보라고 했던 말이 떠올랐다. 그래 일단 nginx 한번 알아보자 마음을 먹게 되었고..
🧑🏻💻지난주 배운 것들과 한 것들 그리고 깨달은 것들 웹푸시 구현을 위한 공부 및 TEST 진행 페이지가 켜져있지 않아도 알림을 보낼 수 있었으면 의견이 나옮 적용과정 위와 같은 기능을 FCM을 이용하면 가능하다는것을 검색결과로 알게되었음 실제 적용된 사례 검색후 파악-> 이해를 못하였음 모르는 코드들과 용어가 많았음 더많은 사례들을 보면서 공통적으로 나왔던 용어들을 파악 FCM의 전체 원리 파악이 필요하다 느낌 실제 적용된 사례코드를 적용하였고 console을이용하여 전체적인 흐름파악 Firebase clouduin Messaging Document을 참고 하여 모자란부분 이해후 구현 구현과정에서 깨달은점 그냥 무작정 인터넷에 떠돌아 다니는 예제들을 보고 그냥 쓰면 전혀 현재 서비스의 상황에 적용할수..
현재 실전프로젝트 기능 서비스는 SNS의 특징들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팔로우 상대피드조회 활동게시물 저장등의 관계를 이루고있는 데이터들이 많아 당연하게 DB를 관계형DB인 SQL을 선택하게 되었다. 그렇기에 처음에 는 관계성DB의 장점이 데이터중복도 없이 각자의 관계를 통해서 현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누구한테나 그럴싸한 계획은 있다 ㅊ쳐.... 마ㅏ...기...) 그런데 가장 API요청이 많이가는 요청에 응답값을 주기 위해서는 단순하나의 테이블이 필요한게 아니라 메인인 todos테이블과 user,comment,challengTodo테이블의 데이터를 전부 가져와야 요구된 응답값을 줄수있게 되었다..... 그결과는 코드 복잡성을 높게 하였고...코드를 짜면서도 수많은 map함수 + findAll;..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