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일상

[CS스터디] 컴퓨터의 논리 구조/프로세서 속도 본문

Study/CS

[CS스터디] 컴퓨터의 논리 구조/프로세서 속도

solutionMan 2022. 7. 19. 23:29
반응형

[chap.1]컴퓨터의 논리와 구조

컴퓨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는 경이로운 속도로 변화하고 있지만, ‘무엇을 하는지는’ 안정적으로 유지 되고 있다.

즉, 물리적인 측면(CPU,RAM..등)은 성능이 더 좋아졌지만, 기능적인 측면(산술,연산,제어,연결 등)은 안정적으로 유지 되고있다.

[chap.2]프로세서 와 심장박동

1940년 이래도 프로세서, 명령어,메모리,저장장치,입ㆍ출력 장치가 있는 기본 구조 유지

*BUS? 프로세서,메모리,주변장치 서로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 역할의 공통 통로

1)프로세서(CPU : 중앙처리 장치)

  • 산술 연산하고, 데이터를 옮기며 다른 구성 요소의 작업을 제어
  • 연산 레퍼토리는 정해져있으나 연산 수행 속도가 빠르다.(단위 GHz)
  • 사용자가 개입하지않아도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 코어 는 ‘프로세서’의 동음이어

💡 <내 프로세서 사향 알아보기>

2.40GHz 인텔 Core i5 >> 1초에 20억 정도 연산할 수 있는속도의 인텔 사 i5 프로세스 사용중

 

2)주 기억 장치(Ram : 임의 접근 메모리)

  • 프로세서가 작업중인 데이터 및 처리 명령어 포함 하여 저장함
  • 브라우저에 활성화된 명령어 와 운영체제 명령어 저장
  • ex) 웹서핑,이메일 보내기,sns 하기, 음악 재생등 동시 실행
  • 메모리에 다른 명령어를 적재(로드)하여 프로세서가 다른 계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함
  • 휘발성 이다.
  • 단위는 ‘Byte’이다

<aside> 💡 <CUP 와 RAM 데이터 동작 흐름도>

출처)https://brorica.tistory.com/entry/3-컴퓨터의-성능-23-CPU의-기본-구성과-명령어-집합

😎요약

  1. 컴퓨터는 물리적으로 성능이 좋아졌고 기능적으로 이전과 같은 일을 수행한다.
  2. 프로세서는 컴퓨터의 두뇌 로 앱/프로그램에 상호작용 하며 명령어를 해석, 결과를 연산
  3. 주 기억장치는 작업중인 데이터,프로세스의 명령어를 저장하고 출력한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