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일상

프로세스 칩 그리고 무어의 법칙 본문

Study/CS

프로세스 칩 그리고 무어의 법칙

solutionMan 2022. 7. 22. 11:28
반응형

보조 저장장치들은 용량은 엉청나게 늘어났는데 겉으로 보기에는 차이가 없다.

심지어 SD카드도 용량만 커졌지, 외부의 차이는 없다.

 

하지만 컴퓨터의 회로기판에서 차이점의 발전은 눈으로 차이도  보인다.

사진에서 볼수있는 선들이 버스라고 보면 된다.

 

 

전자회로는 기본 소자가 모여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기본 소자는 논리 게이트를 들 수 있다.

소자: 장치, 전자 회로 따위의 구성 요소가 되는 낱낱의 부품

논리회로로서 2개의 입력을 받아서 한개의 출력값을 보내준다.

전자 회로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트랜지스터라고 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를 사용해 논리회로를 만들수 있고, 이 원리로 아무리 복잡한 시스템도 구성할수 있다.

근데 과거의 트랜지스터가 너무 컸는데

기술이 반전해서 회로속에 트랜지스터를 때려 박아버렸고, 우리는 그걸 직접회로, 칩, 마이크로칩이라고 한다.

직접회로가 실리콘(규소)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사업을 처음 시작한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남부지역에 실리콘 밸리라는 별명이 생겼다.

그리고 뉴욕에는 실리콘 앨리, 영국 케임브리지에는 실리콘펜이 있다.

 

무어의 법칙

컴퓨터의 성능이 좋아질수록 필요한 트랜지스터의 개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더이상 속도가 예전만큼 빨리 증가할수 없는 이유: 칩이 너무 빨라져 열을 너무 많이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결방법으로 코어의 개수를 늘렸다.

 

 

4코어의 모습

 

결론

하드웨어의 성능은 엉청나게 발전했지만, 작동방식이나 원리는 똑같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