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생각일기
- mysql
- 피드백
- 리눅스
- Java
- CS
- mongoose
- 네트워크
- 알고리즘
- Git
- mongo
- 주간회고
- nest.js
- 생각정리
- next.js
- javascript
- 회고
- 코테
- js
- til
- 기록
- 자바스크립트
- WIL
- array
- typescript
- 트러블슈팅
- MongoDB
- react
- Grafana
- 생각로그
Archives
- Today
- Total
코딩일상
[리눅스] 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 총 정리 본문
반응형
프로세스 출력 (ps)
$ ps aux # 모든 터미널의 프로세스를 소유자 정보와 함께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
$ ps aux | grep apache # 특정 프로세스(apache)만 출력
$ ps -ef # 현재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정보를 전체 포맷으로 출력
$ ps -ef | more # 모든 프로세스를 풀 포맷으로 보여준다, more명령어를 줘서 페이지단위로 출력
$ ps -ef | grep apache # 모든 프로세스의 출력값을 grep을 이용하여 apache가 포함된 라인들을 출력
실시간 프로세스 출력
$ top
- 총 프로세스: 지금 컴퓨터에서 돌고 있는 모든 작업의 수
- 실행 중: 프로세스가 지금 일하고 있는 상태
- 슬립: 프로세스가 잠깐 쉬고 있는 상태
- 정지: 프로세스가 멈춰 있는 상태
- 좀비 프로세스: 일을 다 끝냈지만 아직 완전히 지워지지 않은 상태
* 추가 설명
- 좀비 프로세스: 이미 일을 다 끝냈지만,
부모 프로세스가 아직 정리하지 않아서 컴퓨터 메모리 안에 남아 있는 프로세스 - 생기는 이유: 자식 프로세스가 일을 다 했다고 부모 프로세스에게 알렸지만,
부모 프로세스가 그걸 처리하지 못하였기 때문
- PID: 프로세스 ID (Process ID). 각 프로세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 USER: 프로세스를 실행한 사용자 이름
- PR: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Priority)입니다. 숫자가 낮을수록 높은 우선순위
- NI: 프로세스의 nice 값입니다. 이 값은 우선순위에 영향을 줍니다. 낮은 nice 값은 높은 우선순위
- VIRT: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가상 메모리 (Virtual Memory) 크기
- RES: 프로세스가 실제로 사용 중인 물리적 메모리 (Resident Memory) 크기
- SHR: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하는 메모리 (Shared Memory) 크기
- S: 프로세스의 상태 (State)입니다
- R: 실행 중 (Running)
- S: 대기 중 (Sleeping)
- D: 디스크 대기 (Uninterruptible sleep)
- T: 중지됨 (Stopped)
- Z: 좀비 (Zombie)
- %CPU: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 사용률
- %MEM: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비율
- TIME+: 프로세스가 시작된 이후 경과된 총 CPU 시간
- COMMAND: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명령어
폴더 생성
mkdir
파일 생성
touch
파일 이름 변경
mv 파일명1 파일명2
df
디스크 별 용량 확인
df -h
du
특정 디렉토리 용량 확인
du -hs {folder}
-h 옵션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mb, gb단위)로 출력
현재 폴더에 있는 폴더 및 파일 용량 출력
du -hs *
특정파일 또는 특정 디렉토리 용량 확인
du -sh {file or file_path}
현재 폴더에서 파일 용량이 큰 순서대로 출력
du -h --max-depth=1 | sort -hr
현재 디렉토리에서 상위 10개 폴더의 용량 보기
sudo du -hsx * | sort -rh | head -n 10
디렉토리에 있는 폴더들의 모든 용량을 큰 순서로 정렬
sudo du -ah --max-depth=1 / | sort -hr
grep
특정 파일에서 특정값을 포함하는 줄만 보는법
grep {검색할_문자열}파일이름
grep 'apple' example.txt
옵션
줄번호 옵션(-n)
grep -n 'apple' example.txt
대소문자 구분 없이 검색(-i)
grep -i 'apple' example.txt
결과를 다른 파일로 저장하는법
grep 'apple' example.txt > output.txt
output.txt에는 apple이 포함된 row들 만 모여있는 파일로 만들수있다.
반응형
'개발 공부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Secure Shell) 다루기 (0) | 2024.02.18 |
---|---|
[리눅스] 리눅스 tar, tar.gz 파일 압축 및 해제하는법 (1) | 2023.06.1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