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JS] 모의고사(세상은 넓고 다양한생각은 많다.)
모의고사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
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2, 1, 2, 3, 2, 4, 2, 5, 2, 1, 2, 3, 2, 4, 2, 5, ...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3, 3, 1, 1, 2, 2, 4, 4, 5, 5, 3, 3, 1, 1, 2, 2, 4, 4, 5, 5, ...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시험은 최대 10,000 문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문제의 정답은 1, 2, 3, 4, 5중 하나입니다.
-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여럿일 경우, return하는 값을 오름차순 정렬해주세요.
[1,2,3,4,5] | [1] |
[1,3,2,4,2] | [1,2,3] |
솔직히 이해를 하는데 오래걸렸던 문제였다.
하지만 그래도 해내어서 뿌듯한 마음에 후기를 쓴다.
1)쟁점은 answer의 배열이 얼마나 수포자가 가지고 있는 배열과 일치하는지를 체크하고
2)일치한결과값들을 이용하여 가장 문제를 많이 맞힌 사람을 도출해내는 방식이다.
우선 수포자가 가지고 있는 배열의 반복구간을 찾아내어
%나머지 연산자를 이용하여 answer값과 일정하게 비교 할 수있게 하면
1)를 해결해 나아갈수 있다 생각했다.
function solution(answers) {
let a = [1, 2, 3, 4, 5];
let b = [2, 1, 2, 3, 2, 4, 2, 5];
let c = [3, 3, 1, 1, 2, 2, 4, 4, 5, 5];
let count_a = 0;
let count_b = 0;
let count_c = 0;
//답이랑 학생들의 값을 빼서 0이면 답 그렇지 않다면 틀린것
//학생들이 반복해서 들어가는 구간을 answer배열에 적용하기위해
//%나머지 연산자를 이용하였다.
for (i = 0; i < answers.length; i++) {
if (answers[i] - a[i % 5] === 0) count_a++;
if (answers[i] - b[i % 8] === 0) count_b++;
if (answers[i] - c[i % 10] === 0) count_c++;
}
//학생들이 맞힌 갯수를 배열화 함
let testresult = [count_a, count_b, count_c];
const end = [];
const maxValue = Math.max(...testresult);
//가장 많이 맞히 갯수를 파악
let index = 0;
for (let i = 0; i < 3; i++) {
if (maxValue === testresult[i]) {
//학생들이 맞힌갯수와 최대 정답갯수가 같으면 값이 입력
//값은 1,2,3 순서대로 비교해서 들어가게됢
end[index] = i + 1;
index++;
}
}
return end;
}
다른사람이 푼답
filter함수를 이용하였다...
생각해보니 filter도 이용할 수있음을 깨달았다...
아직 머리가 filter라는것에 익숙하지 않나보다..
더 자주보고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서 코드를 줄여봐야겠다.
여튼 다른사람의 코드는 아래와 같다.
코드도 짧고 가독성도 좋아서 이런게 진짜 좋은 리팩토링이라 생각한다.
그냥 막연히 짧은 코드보다, 간결하면서 파악이 쉬운 코드
function solution(answers) {
var answer = [];
var a1 = [1, 2, 3, 4, 5];
var a2 = [2, 1, 2, 3, 2, 4, 2, 5]
var a3 = [ 3, 3, 1, 1, 2, 2, 4, 4, 5, 5];
var a1c = answers.filter((a,i)=> a === a1[i%a1.length]).length;
var a2c = answers.filter((a,i)=> a === a2[i%a2.length]).length;
var a3c = answers.filter((a,i)=> a === a3[i%a3.length]).length;
var max = Math.max(a1c,a2c,a3c);
if (a1c === max) {answer.push(1)};
if (a2c === max) {answer.push(2)};
if (a3c === max) {answer.push(3)};
return ans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