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그냥생각적기

[2023.01.28(토)]개발자 6주차 생각정리

solutionMan 2023. 1. 29. 19:24
반응형

이번주 느끼고 생각한 점들

npm package agenda가 기존 서버에 적용이 되어있어 있었다.

이를 수정하고 보수해야 하는 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의 오류를 찾을 수 있었다.

어떻게 보면 항상 기본적으로 JS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const를 사용하였다.

 

아무래도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이슈를 사전 차단하기 위해서 const를 사용한 것인데 

어느새 너무 아무 생각도 없이 const를 남발을 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로 에러를 만나게 되었다.

 

디버깅으로 보았을 때도 문제가 없어 보였는데 응답을 줘야 하는 곳에서 자꾸 요청을 끊어버리길래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가를 삽질을 하다가 퇴근을 하였다.

그러다 문득 집 가는 길에 요청을 보내는 값이 가변적으로 바뀌어야 하는데

그 부분이 const로 되어있다는 사실이 떠올랐고

이를 let으로 바꿔주면서 문제는 아주 쉽게 해결되었다.

 

이문제를 해결하면서 더불어 let, const차이와 함께 클로저, 스코프 체인도 함께 공부하였다.

이번에 공부를 다시 하게 되니 그동안 아무리 봐도 이해가 되지 않았던

위 개념들(클로저, 스코프 체인)이 이해가 되면서깨달음을 얻는 재미도 있었다.

 

그리고 미약하지만 관리자 페이지 부분들에 대한 프런트를 적용을 해가면서 

사실 거의 잊어버렸다 깊이 한 것들도 실제로 진행하다 보니 재미가 느껴지고 있다.

 

그리고 프런트를 다루면 다룰수록 백에서의 주는 데이터들이 더욱더 중요하다고 느끼게 되었다.

만약 프런트에서 올바르게 사용자들을 위한 틀들을 제대로 구성을 하기만 한다면

백에서 주는 값들로만으로도 더 쉽게 만들 수 있고 유지보수 또한 쉽게 될 수 있음을

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을 봐야 한다고 하듯이 어떻게 보면 프런트에 나오는 값들은

백에서 가공한 데이터들을 보여주는 것이니 말이다.

 

그렇기에 더 빠르고 정확한 수정을 위해서는 웬만한 로직들은 백에서 해야겠다는 점을 더욱 몸소 느끼게 되었다.

물론 그렇다고 프런트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진짜 개발자라면 전체의 흐름을 이해하고 있으면서

자기가 좀 더 집중하고 있는 분야를 하면서

어떻게 하면 전체적인 흐름이 더유연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이행하는 게 진짜 개발자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여하튼 벌써 6주 차 이야기를 적는다는 점이 신기하면서도

앞으로도 꾸준히 적어봐야겠다.

 

이번주 아쉬웠던 점

현재 Spring을 통해서 데이터를 다루고 있는 부분 있는데 한 부분이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이어서
이를 Spring배치를 통해서 진행하려고 하는데 아무래도 실제로 진행하면서 해보는 게 가장 빠르게 배우는 것인데,

대부분의 정보들이 Spring boot를 통해서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Spring boot를 통해서는 해보았는데 이를 legacy 환경을 통해서도 구현을 해야 하는데

이 legacy 상태를 세팅이 내가 미숙한 건지 아무리 해도 환경을 만드는 과정에서 에러가 너무 많이 

발생을 하게 되고 진도가 나아가지 않아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

 

일단 할 수 있는 부분까지 배우고 회사에 계신 분들에게 자문을 구해보려 한다. ㅜㅜ

얼른 마무리 지어보고 싶은데 마음대로 되지 않아 아쉬운 마음에 이렇게 글을 남긴다.

반응형